티스토리 뷰
목차
《아이 캔 스피크》는 2017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감동적으로 다룬 작품입니다.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삼아 허구의 이야기로 풀어낸 이 영화는 감동과 유머를 적절히 배합하며 관객들에게 강한 울림을 선사합니다. 주인공 나옥분과 박민재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그들의 성장과 변화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영화 [아이 캔 스피크] 줄거리
《아이 캔 스피크》의 주인공은 구청에 끊임없이 민원을 넣는 고집스러운 할머니 나옥분(나문희 분)입니다. 그녀는 구청 직원들이 꺼려하는 존재로, 사소한 문제에도 민원을 제기하며 지역사회에서 악명 높은 인물입니다. 그런 그녀 앞에 원칙주의자인 박민재(이제훈 분)가 새롭게 구청 공무원으로 부임합니다.
민재는 처음엔 옥분을 귀찮아하지만, 그녀가 민원을 넣는 이유가 단순한 트집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불합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임을 알게 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옥분은 민재에게 영어를 가르쳐 달라고 부탁합니다. 이유는 밝히지 않지만, 영어를 배우려는 열정만큼은 누구보다 진지합니다. 처음엔 거절하던 민재도 옥분의 진심 어린 노력에 마음이 움직이고, 결국 영어를 가르치기로 합니다.
그렇게 시작된 두 사람의 영어 수업은 예상치 못한 우정을 싹트게 합니다. 민재는 옥분이 단순히 외국어를 배우고 싶은 것이 아니라, 미국 의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 증언하기 위해 영어를 배우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결국, 옥분은 미국 의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직접 증언을 하게 됩니다. 수많은 사람들 앞에서 그녀는 고통스러운 과거를 용기 있게 이야기하며, 당시 자신이 겪은 참상을 전 세계에 알립니다. 그녀의 증언은 큰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민재 역시 그녀를 존경하는 마음을 품게 됩니다. 영화는 옥분이 오랜 시간 간직해온 슬픔을 세상에 털어놓으며 마무리됩니다.
영화 [아이 캔 스피크] 등장인물
✅ 나옥분 (나문희)
나옥분은 동네에서 ‘민원왕’으로 불리는 할머니로, 불합리한 점이 있으면 그냥 넘어가지 않는 성격입니다. 하지만 그녀의 이런 행동 이면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의 아픔과 정의를 향한 열망이 숨겨져 있습니다. 그녀는 영어를 배우려는 열정 하나로 젊은 공무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결국 세계 앞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냅니다. 나문희 배우의 섬세한 연기가 빛을 발하며, 그녀의 고통과 용기를 실감 나게 표현했습니다.
✅ 박민재 (이제훈)
박민재는 원칙을 중시하는 성실한 구청 공무원으로, 초반에는 옥분을 귀찮게 여깁니다. 하지만 점차 그녀의 진심을 이해하고 영어를 가르치며 우정을 쌓아갑니다. 민재는 영화 속에서 시대의 아픔을 배우고 성장하는 젊은 세대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제훈은 묵직한 감정을 담아내며, 캐릭터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표현해냈습니다.
✅ 서장관 (김인우)
미국 의회에서 옥분이 증언할 수 있도록 돕는 인물로, 그녀의 이야기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 구청 직원들
민재의 동료 공무원들로, 옥분의 민원 폭탄에 시달리지만 점차 그녀를 이해하게 됩니다.
영화 [아이 캔 스피크] 총평
《아이 캔 스피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아픔을 다루면서도,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도 따뜻한 감동과 유머를 잃지 않는 균형 잡힌 영화입니다. 특히 나문희 배우의 연기가 가장 큰 감동을 선사하는데, 그녀의 목소리와 눈빛만으로도 관객들은 그녀의 고통과 용기를 실감하게 됩니다.
이 영화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바로 미국 의회에서 옥분이 영어로 직접 증언하는 순간입니다. 그녀의 증언은 단순한 연기가 아니라, 실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세상에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를 대변하는 듯한 힘을 가집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역사적 진실을 다시금 상기하게 됩니다.
또한 영화는 단순히 과거의 아픔을 조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아픔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만듭니다. 나옥분의 이야기는 한 개인의 삶이 아니라, 역사의 일부이며, 우리가 기억하고 배워야 할 이야기임을 강조합니다.
이제훈이 연기한 박민재 캐릭터 또한 의미 있는 역할을 합니다. 초반에는 원칙주의자였던 그가 옥분을 통해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은, 우리가 역사를 배우고 공감하는 과정과도 닮아 있습니다.
《아이 캔 스피크》는 단순한 감동 영화가 아니라, 역사를 기억하고 정의를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강한 메시지를 담은 작품입니다. 영화를 보고 나면, 과거를 잊지 않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이 영화를 추천하는 이유: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감동적으로 조명
- 나문희 배우의 인생 연기
- 감동과 유머의 균형이 잘 잡힌 서사
- 역사적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